확정급여형 퇴직연금 (DB : Defined Benefit)

2024. 11. 14. 01:14세금, 정책

반응형

확정급여형(DB : Defined Benefit) 퇴직연금은 근로자의 퇴직급여가 사전에 확정되어 있는 제도입니다.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의 부담금 납입

  • 부담금 납입 주체
    •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에서는 사용자(기업)가 부담금을 납입하는 주체입니다. 
  • 납입 빈도
    • 기업은 연 1회 이상 정기적으로 퇴직연금사업자에게 부담금을 납입해야 합니다. 
  • 부담금 구성
    • 표준부담금
    • 보충부담금
    • 특별부담금
  • 부담금 산정 기준
    • 부담금은 기준책임준비금에 최소(의무) 적립비율을 곱한 값으로 산정됩니다. 
    • 쉬운 말로 퇴직급여는 근로자의 퇴직 시 평균임금과 근속연수를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 일반적으로 '퇴직 시 월평균임금 * 근속연수'로 계산됩니다. 
  • 부담금 변동 가능성
    • 기업의 부담금은 적립금 운용 수익률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즉, 운용 실적에 따라 기업이 납입해야 할 부담금의 수준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최소적립 의무
    • 법에서 정한 최소적립수준 이상을 적립해야 합니다. 이는 근로자의 퇴직급여를 보장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 부담금 목적
    • 기업은 사전에 규약에서 정한 퇴직급여를 지급하기 위해 부담금을 납입합니다. 법정 퇴직급여는 '근로기간 1년에 대하여 30일분의 평균임금 이상'을 의미합니다. 

운용 책임

  • 적립금 운용의 책임은 기업(사용자)에게 있습니다. 
  • 기업이 운용 결과에 따른 위험을 부담합니다. 

지급 방법

  • 근로자는 퇴직 시 일시금 또는 연금 형태로 퇴직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연금 수령 시에는 55세 이상이어야 하며, 연금지급기간은 5년 이상이어야 합니다.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이 적합한 기업 유형

  • 임금인상률이 높은 기업
    • 최종 임금 수준이 퇴직금을 결정하므로 임금인상률이 높을수록 근로자에게 유리합니다. 
  • 부채비율을 개선하고자 하는 기업
    • 사외적립 부분은 퇴직급여충당금에서 차감되어 표시되므로 부채비율 개선 효과가 있습니다. 
  • 퇴직금 업무를 집중 관리하고자 하는 기업
    • 기존의 퇴지그금제도나 퇴직신탁(보험)과 관리방법이 유사합니다.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의 장점

  • 안정적인 퇴직급여 보장
    • 퇴직 시 받을 급여가 사전에 확정되어 있어 근로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합니다. 
    • 투자 실적과 관계없이 약속된 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퇴직 계획 수립 용이
    • 퇴직 후 받을 연금 금액을 미리 알 수 있어 은퇴 계획을 세우기 쉽습니다. 
  • 물가상승 대비
    • 대부분 DB 연금은 물가상승률을 반영하여 급여가 조정됩니다. 
  • 투자 위험 부담 없음 
    • 투자 위험을 회사가 부담하므로 근로자는 투자 성과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 유족 급여 제공
    • 많은 DB 연금은 가입자 사망 시 배우자나 부양가족에게 연금을 지급합니다. 
  • 장기 근속자에게 유리
    • 근속 기간이 길수록 퇴직급여가 증가하므로 장기 근속자에게 유리합니다. 
  • 조기 퇴직 옵션
    • 대부분 DB 연금은 55세 이후 조기 퇴직 옵션을 제공합니다. 
  • 세금 효율성
    • 다른 연금과 통합하여 세금 효율성을 최적화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습니다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의 단점

  • 기업 부담 증가
    • 운용수익률이 낮거나 임금 상승률이 높을 경우 기업의 추가 부담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연금 자산 운용 및 관리에 따른 비용이 기업에 부담이 됩니다. 
  • 근로자의 투자 선택권 제한
    • 근로자가 퇴직연금 자산의 운용 방식을 선택할 수 없습니다. 
  • 수급권 보장의 불안정성
    • 기업이 파산하거나 재정적 어려움을 겪을 경우 근로자의 퇴직급여 수급에 위험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이직 시 불이익
    • 근속기간에 따라 급여가 결정되므로 장기근속을 전제로 하며, 이직 시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급여 증액의 어려움
    • 정해진 급여 산정 공식에 따라 지급되므로 근로자가 추가 기여를 통해 급여를 늘리기 어렵습니다. 
  • 복잡한 관리
    • 연금 회계 도입 등 관리감독이 복잡하여 기업에 부담이 됩니다. 
  • 유연성 부족
    • 일시금 수령 등 급여 수령 방식의 선택이 제한적입니다. 
반응형

'세금,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확정기여형 퇴직연금  (2) 2024.11.14
퇴직 연금  (0) 2024.11.13
기후동행카드  (0) 2024.10.27
2024 청년월세지원 대상 및 신청  (1) 2024.03.05
신용 카드 / 체크 카드 소득공제 비율  (0) 2024.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