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 ETF 폐지
2025. 7. 26. 02:40ㆍ주식/국내 주식
반응형
2025년 07월부터 해외주식형 TR(Total Return) ETF가 사실상 사라집니다.
6조 원 규모의 해외주식형 TR ETF 시장에 투자한 개인투자자들에게는 청천벽력 같은 소식입니다.
복리효과와 과세이연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 번에 잡을 수 있었던 매력적인 투자상품이 정부의 세법 개정으로 인해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 것입니다.
TR ETF란
TR ETF는 보유 기간 중 발생한 이자와 배당 등 모든 수익을 분배하지 않고 자동으로 재투자하는 방식으로 운용되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예를 들어 1만원을 투자해 배당금 500원(5%)이 발생하면, 이를 별도로 지급하지 않고 10,500원으로 자동 재투자하여 다음번에는 10,500원에 대한 5%가 붙게 되는 복리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 TR ETF의 핵심 장점
- 복리 효과
- 배당금을 자동으로 재투자해과를 극대화
- 과세 이연
- ETF를 매도하기 전까지 배당소득세(15.4%)를 유보
- 편의성
- 별도의 재투자 거래비용 없이 자동으로 재투자 진행
- 복리 효과
이와 반대로 PR(Price Reture) ETF는 배당금을 투자자에게 현금으로 지급하며, 지급할 때마다 15.4%의 배당소득세가 부과됩니다.
정부가 TR ETF를 금지한 이유
기획재정부는 2025년 01월 16일 '2024년 세법개정 후속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예고하며 해외주식형 TR ETF 운용을 사실상 금지했습니다.
- 정부의 주요 논리
- 과세 형평성 문제
- 해외주식형 TR ETF가 배당소득세를 무기한 유보하는 구조가 다른 펀드와 비교해 불공정하다는 판단
- 세법 원칙 위배
- 세법상 펀드는 반드시 연간 1회 결산 및 분대를 해야 하는데 TR ETF는 이를 우회했다는 지적
- 국고 부담
- 외국납부세액 선환급으로 인한 국고 부담을 줄이려는 목적
- 과세 형평성 문제
흥미롭게도 정부는 국내주식형 TR ETF는 예외로 두었습니다.
국내 시장 활성화를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이로 인해 오히려 조세 형평성 논란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영향을 받은 상품
- 현재 국내 상장 해외주식형 TR ETF (7개 종목, 약 6조원 규모)
- KODEX 미국 S&P500 TR (삼성자산운용) : 3조 6000억 원
- KODEX 미국 나스닥 100 TR (삼성자산운용) : 1조 8000억 원
- TIGER 미국 S&P500 TR(H) (미래에셋자산운용) : 3679억 원
- TIGER 미국 나스닥 100 TR(H) (미래에셋자산운용) : 2327억 원
- TIGER 미국 나스낙100 TR채권혼합 Fn (미래에셋자산운용) : 1602억 원
- RISE 미국 고정배당우선증권 TR (신한자산운용) : 184억 원
- SOL 미국 배당다우존스 TR (신한자산운용) : 355억 원
운용사의 대응
- 삼성자산운용의 선제 대응
- 삼성자산운용은 가장 발 빠르게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 2025년 01월 24일 KODEX 2개의 종목에서 TR 표기를 삭제하고 분기배당형으로 전환했습니다.
- 매년 1월, 4월, 7월, 10월 말일 기준으로 분기 분배를 실시하며, 첫 배당금은 5월 두 번째 영업일에 지급될 예정입니다.
- 다른 운용사들의 고민
- 미래에셋자산운용과 신한자산운용도 분배형 전환을 검토 예정입니다.
- 각 운용사는 TR형의 복리효과를 최대한 유사하게 만들어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으며, 세금을 공제한 뒤 남은 배당금만 대투자하는 구조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의 대안
- TR ETN (상장지수증권)
- 가장 주목받는 대안은 TR ETN입니다.
- ETN은 관련법상 펀드가 아닌 증권으로 분류되어 이번 세법 개정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 TR ETN의 장점
- 기존 TR ETF와 동일한 복리 효과와 과세이연 효과 유지
- 현재 국내 상장 ETN 중 TR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이 247개
- 해외 주식형 TR ETN은 37개
- TR ETN의 단점
- 회대 20년 만기 존재
- 퇴직연금 투자 불가 (ISA에서만 투자 가능)
- 발행사 부도 위험 (신용위험)
- 분배형 ETF로의 전환
- 기존 TR ETF들이 분배형으로 전환되면서 투자자들은 별도 조치 없이 자동 전환됩니다.
- 다만 더 이상 과세이연 효과는 누릴 수 없게 됩니다.
- 커버드콜 ETF
- 절세에 민감한 투자자들이 고려할 수 있는 또 다른 대안입니다.
- 하지만 운용 방식이 기존 TR ETF와는 상당히 다른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 연금계좌 활용 강화
- 연금저축이나 IRP 같은 절세 상품을 더욱 적극 활용하여 배당금에 대한 세금 부담을 줄이는 방법입니다.
기존 투자자들의 대응
- 급한 매도의 필요는 없음
- 기존에 투자한 TR ETF는 자동으로 분배형으로 전환되므로 급하게 매도할 필요는 없습니다.
- 오히려 성급한 매도는 불필요한 거래비용과 세금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 세금 계획 재검토
- 더 이상 과세이연 효과를 누릴 수 없으므로 금융소득종합과세 기준 (연 2000만 원)을 점검하고 세금 부담을 최소화할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 분배금 재투자 계획 수립
- 앞으로 분기마다 지급받는 배당금을 어떻게 재투자할지 미리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 자동매매 시스템을 제공하는 증권사를 활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 대안 상품 검토
- 본인의 투자 목적과 위험성향에 따라 TR ETN이나 다른 대안 상품으로의 전환을 검토해 볼 수 있습니다.
시장에 미치는 영향
- 운용사 경쟁구도 변화
- 삼성자산운용이 해외주식형 TR ETF 시장의 87%를 차지하고 있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이로 인해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S&P500 같은 기존 분배형 ETF로 자금이 이동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ETN 시장 활성화
- TR ETF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TR ETN 시장이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현재 KB증권, 삼성증권, 신한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등 5개 증권사가 해외주식형 TR ETN을 발행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주식 > 국내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A, 연금계좌 세제 혜택 축소 (2025년) (4) | 2025.07.25 |
---|---|
ISA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세제 개편 및 기대 효과 (1) | 2024.02.22 |
ISA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특징 및 종류 (2) | 2024.02.21 |
KBSTAR 글로벌리얼티인컴 ETF (1) | 2024.02.18 |
국내 SCHD ETF 정리 (2) | 2024.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