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3. 23:56ㆍETC
칼라CollarCollar는 옷깃을 의미하는 단어로, 특정 직업군 종사자들이 주로 입는 옷의 색상을 통해 직업을 분류하는 표현 방식입니다.
이는 단순히 색상ColorColor과는 다른 개념으로, 직업적 특성과 사회적 위치를 상징적으로 나타냅니다.
이러한 칼라 표현들은 시대에 따라 진화해 왔으며, 각각의 용어는 흥미로운 역사적 배경과 어원을 가지고 있습니다.
블루 칼라 BuleCollarBuleCollar
화이트 칼라와 같이 칼라 분류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블루 칼라는 육체노동에 종사하는 생산직 노동자를 지칭합니다.
미국의 어원학자 Barry Popik에 따르면, '블루 칼라'라는 용어는 1924년 미국 아이오와 주 앨던에서 발간된 Times 신문에서 처음 등장했습니다.
이 표현은 '화이트 칼라'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블루 칼라라는 명칭이 생긴 이유는 당시 공장이나 건설 현장 등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이 주로 착용하던 작업복이 청색파란색 계열이었기 때문입니다.
청바지와 같은 파란색 작업복은 작업 중 묻을 수 있는 먼지나 기름 등의 오염이 덜 눈에 띄는 실용적인 색상이었습니다.
현재 블루 칼라는 제조업, 광업, 건설업 등 생산 현상에서 주로 육체노동에 종사하는 노동자를 총칭하는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화이트 칼라 WhiteCollar
블루 칼라와 같이 칼라 분류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화이트 칼라는 주로 사무실에서 일하는 사무직, 관리직, 전문직 노동자를 의미합니다.
이 용어는 블루 칼라보다 먼저 사용되었으며, 위키백과 등에 따르면 1930년대 미국 작가 Upton Sinclair에 의해 대중화되었다고 설명합니다.
그러나 앞서 언급했듯이 1924년 신문에 이미 '화이트 칼라'라는 표현이 사용된 것으로 보아 그 이전부터 존재했던 표현으로 추정됩니다.
화이트 칼라라는 명칭은 19세기부터 20세기까지 사무실 노동자들이 주로 착용하던 흰색 셔츠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들은 육체노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흰색 셔츠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었으며, 이는 간접 생산 부분 노동자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핑크 칼라 PinkCollar
핑크 칼라는 1970년대에 등장하는 표현으로, 웨이터, 점원, 판매원 등 서비스직 직업군을 지칭합니다
이 용어가 생긴 배경에는 당시 서비스직에 주로 여성들이 종사하고 있었다는 사회적 맥락이 있습니다. 핑크색이 여성을 상징하는 색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이 직군을 핑크 칼라로 명명하게 되었습니다.
현대에는 성별에 관계없이 서비스업 종사자 전체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골드 칼라ColdCollar
골드 칼라는 1980년대에 등장한 표현으로,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됩니다.
- 첨단 기술, 아이디어, 지식정보 등으로 높은 생산성을 창출하는 첨단 전문직 직업군
- 상당히 숙련된 기술이나 수준 높은 지식을 활용하는 고도의 전문직 직업군의사,변호사,엔지니어등
이 용어는 1985년 미국의 로버트 캘리 교슈가 '골드칼라 노동자'라는 책에서 처음 언급했습니다.
금Gold은 부와 번영의 상징이므로, 미래의 유망 직업군에 대한 희망과 가치를 표현하기 위해 이 색상이 선택되었습니다.
그레이 칼라GreyCollar
그레이 칼라는 화이트 칼라와 블루 칼라의 중간에 위치한 직업군을 의미합니다.
이 용어는 기술의 발전과 사무의 기계화, 생산 공정의 자동화 등으로 인해 블루 칼라 노동자들이 단순 육체노동에서 벗어나 컴퓨터나 자동화 시스템의 관리와 정비에 종사하게 되면서 등장했습니다.
그레이회색는 화이트흰색와 블루파란색 사이의 색상으로, 두 직군의 특성을 모두 가진 중간적 성격을 상징적으로 표현합니다.
퍼플 칼라 PurpleCollar
퍼플 칼라는 유연하게 근무하는 직종의 사람들을 지칭합니다.
일반적으로 아르바이트생, 계약직, 파트타임 근무자들이 이 범주에 속합니다.
퍼플보라색은 역사적으로 귀족과 왕족을 상징하는 색이었습니다.
과거에는 보라색 염료를 만들기 위해 수천 마리의 달팽이를 처리하는 복잡한 과정이 필요했기 때문에 매우 희귀하고 비싼 색상이었습니다.
그러나 퍼플 칼라의 정확한 어원에 대한 직접적인 설명은 제공된 검색 결과에 없습니다.
레드 칼라 RedCollar
레드 칼라는 정부기관이나 군대 등의 공공기관에서 일하는 공무원을 지칭합니다.
이 용어의 어원에는 두 가지 설이 있습니다.
- 공공기관의 적자예산과 관련
- 공공재적인 성격을 띠는 정부기관은 예산이 마이너스가 되더라고 공적 업무를 위해 사업을 계속 진행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이 때문에 마이너스를 뜻하는 적자의 붉은색이 레드 칼라의 어원이 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 중국 공산당의 상징색과 관련
- 중국 공산당의 상징적인 색이 빨간색이기 때문에, 붉은 당을 위해 일하는 사람들이란 이미지에서 공무원을 레드 칼라라고 부르기 시작했다는 설도 있습니다.
브라운 칼라 BrownCollar
브라운 칼라는 전문성을 더한 육체노동자를 의미합니다.
이 용어는 화이트 칼라의 전문성과 블루 칼라의 육체노동을 융합하여 부가가치를 만들어 내는 직군을 의미합니다.
그레이 칼라와 다른 점은, 그레이 칼라가 육체 노동자가 기술의 진보로 인해 화이트 칼라적 성격을 갖게 된 경우라면, 브라운 칼라는 젊고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전문성을 지닌 화이트 칼라 출신들이 육체노동 분야로 진출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그린 칼라 GreenCollar
그린 칼라는 친환경 사업이나 환경을 위한 업무를 하는 사람들을 지칭합니다.
이 용어는 친환경을 상징하는 녹색에서 유래했습니다.
기타 칼라 표현
오랜지 칼라, 레인보우 칼라, 라이트블루 칼라, 오픈 칼라, 옐로우 칼라, 논 칼라Non−collar 등도 언급되어 있습니다.
특히 논 칼라는 현대 사회에서 블루 칼라도, 화이트 칼라도 아닌, 주로 컴퓨터 작업이 중심인 새로운 형태의 직종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됩니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슈탈트 심리학 - 원리 및 현대 사회 적용 사례 1 | 2025.03.26 |
---|---|
게슈탈트 심리학 - 기원과 발전 1 | 2025.03.24 |
코브라 효과CobraEffect 1 | 2025.03.03 |
펠로즈의 계단 0 | 2025.02.09 |
펜로즈의 삼각형 PenroseStairs 0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