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별 원자로의 특징
2025. 3. 12. 01:34ㆍ과학-기구
반응형
원자로는 기술 발전과 안정성, 경제성, 환경성 요구에 따라 여러 세대를 거쳐 진화해 왔습니다. 각 세대는 기술적 특징과 설계 목표에 따라 구분되며 1세대, 2세대, 3세대, 3세대+가 있고 추가적으로 4세대와 소형원자로가 있습니다.

1세대 원자로 GenI
1세대 원자로는 1950 ~ 60년대에 개발된 초기 상업용 원자로로,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목표로 설계되었습니다.
- 주요 특징
- 초기 설계로 안정성보다는 기술 구현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 낮은 출력과 효율의 특징이 있으며, 천연 우라늄을 연료로 사용합니다.
- 중성자 감속재로 흑연, 중수 등을 사용합니다.
- 대표 사례
- 쉬핑포트 원자로미국세계최초상업용원자로
- 마그녹스 원자로영국
- 한계
- 안정성과 경제성이 부족하여 대규모 상업적 성공에는 미치지 못했습니다.
2세대 원자로 GenII
2세대 원자로는 경제성과 신뢰성을 강화하며 상업적 발전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단계입니다.
- 주요 특징
- 가압경수로PWR, 비등경수로BWR, 가압중수로PHWR등 다양한 유형이 있습니다.
- 전형적인 설계 수명은 약 40년 입니다.
- 능동안전계통을 채택하여 안정적 운전이 가능합니다.
- 대표 사례
- 고리 1호한국
- 원성 원전한국
- 캔두캐나다
- 한계
- 안정성 강화 요구가 증가하며 사고 위험이 여전히 존재했습니다.
3세대 원자로 GenIII
스리마일섬 사고1979년 이후 안정성과 경제성을 크게 향상한 개량표준형 원자로입니다.
- 주요 특징
- 피동형 안전계통 도입으로 사고 발생 시 자동 대응이 가능합니다.
- 연료 효율 향상 및 설계 수명이 연장되었습니다.60년이상
- 표준화된 설계를 통해 건설 비용을 절감하고, 공사 기간을 단축이 가능합니다.
- 대표 사례
- APR1000한국
- APR1400한국
- AP600미국
- AP1000미국
- 장점
- 사고 발생 가능성을 크게 줄이고 경제성을 강화했습니다.
- 한계
- 초기 건설 비용 부담이 크며, 사용후 핵연료 처리 문제가 있습니다.
3세대+ 원자로GenIII+
3세대+ 원자로는 기존 3세대 원자로를 기반으로 추가적인 안정성과 효율성을 강화한 설계입니다.
- 주요 특징
- 중대사고 완화장치를 추가하여 사고 발생 가능성을 더욱 낮췄습니다.
- 모듈화 된 건설 방식으로 비용을 절감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했습니다.
- 대표 사례
- EPREuropeanPressurizedReactor유럽
- AP1000미국
- APR1400한국
4세대 원자로 GenIV
4세대 원자로는 기존 세대를 뛰어넘는 혁신적인 기술을 목표로 개발 중인 차세대 원자로입니다.
- 주요 특징
- 지속 가능성, 안정성, 경제성, 핵확산 저항성을 강화한 설계입니다.
- 새로운 냉각제액체금속,가스등를 사용하여 높은 온도에서 운전이 가능합니다.
- 폐기물 저감을 위해 핵연료 재순환 기술을 적용합니다.
- 대표 유형
- 소듐냉각고속로SFR, 초고온가스로VHTR, 용융염원자로MSR 등
- 개발 현황
- 한국은 SFR과 VHTR 개발에 집중하며 공학적 설계를 완료한 상태입니다.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소형 모듈형 원자로SmallModularReactor는 크기가 작고 모듈화된 설계를 통해 기존 대형 원자로의 단점을 보완합니다.
- 주요 특징
- 출력이 약 300MWe 이하로 작아 분산 전원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 일체형 설계를 통해 안전성을 강화하고 사고 위험을 감소시킵니다.
- 공장에서 제작 후 현장 조립이 가능하여 건설 비용과 시간을 절감합니다.
- 대표 사례
- SMART 모델한국해수담수화및열공급목적
- NuScale Power Module미국지하설치목표
- 활용성
- 수소 생산, 담수화, 열 공급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
반응형
'과학-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이캐스팅 Die Casting - 역사, 원리, 공정 단계 및 종류 0 | 2025.03.19 |
---|---|
기존 원자로 vs 소형 원자로 차이점 0 | 2025.03.12 |
바텀 업 설계 Bottom−UpDesign 2 | 2025.02.03 |
탑 다운 설계 Top−DownDesign 0 | 2025.01.31 |
나사의 소재/재질 3 | 2025.01.30 |